변수란 데이터 타입에 따라 할당된 저장 공간을 의미한다.
//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값(동적으로 변한다.)
//값을 저장하기 위해 명명된 위치. 미리 정해진 이름을 통해 예측할 수 없는 값에 접근이 가능
//변수 명에는 공백을 사용할 수 없다, 보통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써 붙인다.
(대소문자를 구분한다.)
//낙타 등 모양처럼 생겼다고 하여 Camel Case라고 명칭한다.
변수의 선언 var, let, const
var
let a = 1;
let a = 2; //변수의 재선언이 가능하다
let
let b = 1;
let b = 2;(Error) // 변수의 재선언이 불가능하다
b = 3; // 선언된 변수에 재할당이 가능하다
const
let c = 1;
let c = 2;(Error) // 변수의 재선언이 불가능하다
c = 3;(Error) // 변수의 재할당이 불가능하다
변수 할당(Joturn은 주로 let을 사용한다..아직까지는)
let myname;
myname = 'Jo_turn';
// myname에 'Jo_turn'을 할당 여기서 "="은 "같다"가 아닌 "대입(assign)"
한줄로 나타내기 let myname = 'Jo_turn' ;
//"Jo_turn"이라는 값을 가지고 있는 myname를 선언
변수 사용의 예
let a = 1; , let b = 2;
let c = 1 +2; // c는 3의 값을 가진다.
c = c + a; // c는 4의 값을 가진다
c = c + b; // c는 6의 값을 가진다 ***값이 동적으로 변한다
'Software Enginee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건문(if) in Javascript (0) | 2020.10.20 |
---|---|
Type(타입) In Javascript (0) | 2020.10.20 |
Object(객체) in Javascript (0) | 2020.10.17 |
Array(배열) in Javascript (0) | 2020.10.15 |
String type(문자열) in Javascript (0) | 2020.10.14 |